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프로그래머스
- php-1
- 티스토리챌린지
- React
- 오블완
- 코딩테스트
- 고고학 최고의 발견
- expo
- 보안
- url 랜더링
- level3
- Redux
- web-view
- redux state값 유지
- python
- 블로그 뉴비
- 훈수 가능
- Dreamhack
- 드림핵
- 사업계획서
- apk 빌드
- react-router-dom
- API 활용 신청
- 공공데이터 포털
- 새로고침
- 꿀팁 환영
- 개발
- 창업 300
- 부산 맛집 OPEN API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9)
1223v
https://www.acmicpc.net/problem/27961 그리디 문제이다. 횟수를 세는 부분으로 마지막 넘치는 것은 고려하지 않고 풀어도 되는 문제이다. Pythonimport sysinput = sys.stdin.readlineN = int(input())magic = 0cat = 0while N > cat: if cat == 0: cat += 1 else: cat *= 2 magic += 1print(magic) RubyN = gets.to_icat = 0magic = 0while N > cat if cat == 0: cat += 1 else cat *= 2 endendputs magic 회고.단순한 그리디 문제인데 마지막..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0130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음수간선이 존재하는 벨만포드 문제이다.하지만, 음수 간선을 판별 혹은 음수 간선인 부분을 찾는 것이 아닌 음수 간선을 피해 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최대한 높은 값으로 도착지에 도착해야하는 문제이다. 하지만, 만약 사이클이 존재하고, 마지막 도착 지점이 음수 간선 사이클이라면, -1을 출력하는 문제이다. import sysinput = sys.stdin.readlineN,M = map(int,input().split())graph = ..
고민의 시작우리 프로젝트는 MYSQL RT 저장 방식 ⇒ Redis RT 저장 방식으로 변경했다.그렇다면 고려해야하는 것이 redis가 다운되었을 경우의 복구 전략이다..💡 Redis 를 도입했을때 관리 포인트가 늘게 되는데 관리포인트가 느는 부분이 바로 redis가 다운 되었을 때에 대한 대처이다,,왜 이 고민이 필요해?현재 redis를 도입하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로그인에서 RT를 저장하는 부분일 것이다.사용자 ⇒ 로그인 시도 ⇒ at/rt 발급 ⇒ rt redis에 저장 ⇒ at/rt 반환 ⇒ 로그인 성공보통 토큰을 사용한 로그인은 위와 같은 과정을 따르는데,사용자 ⇒ 로그인 시도 ⇒ at/rt 발급 ⇒rt redis에 저장⇒at/rt 반환 ⇒ 로그인 성공redis가 다운된다면 다음 과정마저, ..
https://www.acmicpc.net/problem/1022 달팽이 구현 문제이다.우선 (r2-r1+1) * (c2-c1+1) 배열을 만들어주고, 그 배열이 다 채워질때까지 달팽이 코드를 돌리면 된다. 달팽이 코드상하 중 하나 양옆중 하나를 움직이고 length가 늘어나는 특징을 지닌다.즉, 2번은 움직임이 같고 이후 한개씩 늘린다.그 과정에서 같은 길이를 2번 방향이 달리하게 움직여줘야 하니 한번 length 만큼 루프를 돌고 방향전환 후 한번더 루프를 돈다.length 루프 내부는 계속 ni, nj 값을 계속 증가시키며 움직여주고, 만약, (r2-r1+1) * (c2-c1+1) 이 배열 내부를 지나간다면, 정답배열에 cnt 값을 갱신해준다. 출력이후, cnt의 값이 정답배열에 최종적으로 입력된..
https://www.acmicpc.net/problem/9663 N-Queen 유명한 완전탐색 백트래킹 문제이다.N * N 체스판에 N개의 퀸이 서로 잡지 못하는 상태로 위치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찾는 문제이다. 풀이.퀸은 왼쪽 대각선, 오른쪽 대각선, 상, 하, 좌, 우의 이동이 가능하다.즉.1. 상, 하, 좌, 우2. 왼쪽 대각선3. 오른쪽 대각선을 판별하는 방문 배열을 만들면 된다. 만약 좌표가 x,y라고 한다면, 상, 하, 좌, 우는 어디를 이동하던 늘 x, y중 하나가 타켓점과 같다.(배열 그대로의 값을 사용하면 됌) 왼쪽 대각선은 어디를 이동하던 늘 x + y를 더한 값이 타켓점의 x + y한 값과 같다. (n[행을 의미] + i[열을 의미]) 오른쪽 대각선은 어디를 이동하던 늘 ..
고민의 시작저번 내용에서는 토큰인지 세션인지에 대한 문제는 다루었다.그래서 여러 부분을 고려해 토큰을 채택했다.토큰을 채택하며, 보안을 위해 AT, RT를 분리하게 되었다.💡 이부분에서 RT를 어디에 보관해야 하는가? 로 했을때, 인메모리 스토리지로 여러가지 선택지가 존재했다. 왜 이 고민이 필요해?항상 관리 포인트를 늘리면서 기술을 도입하는 행위는 늘 아쉬움이 남았다.무엇보다도 인메모리 스토리지를 도입했을 때 기술 및 관리 포인트를 늘리 면서까지 기술을 도입했을때의 압도적인 강점이 존재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유사한 스펙을 가진 두 기술의 각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파악하고 현재 우리 서비스에 적합한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Redis vs MemcachedRedis의 장 / ..
https://www.acmicpc.net/problem/3020 누적합을 이용하여 푸는 문제이다.특이하게 시작점과 끝점만을 표시한 후 하나의 누적합 for문으로 끝내는 방식이다. 코드는 매우 단순하다.홀짝을 구분하여 위 아래로 표시를 진행해준다.오름차순으로 가는 경우, 시작점에 1 | 끝점에 -1로 끝을 표기한다내림차순의 경우 전체 높이 - 돌 길이 를 한다결국 누적합으로 for문을 돌게 되면 시작점(돌 시작 위치)로 부터 꼭대기까지 값이 갱신되므로, 결국 한 배열 안에 몇개의 돌들이 겹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N, M = gets.split.map(&:to_i)graph = Array.new(M,0)N.times do |i| B = gets.to_i if i %2 == 0 graph[0] +..
https://www.acmicpc.net/problem/2573 BFS 탐색과 시뮬레이션 문제이다.BFS로는 빙산이 몇개인지와 얼음이 주변 바닷물과 몇개나 접해있는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하고이중 for문으로 빙산이 어디 있는지와 얼음이 주변 바닷물에 맞닿아 있는 경우를 빼주는 방식으로 풀이 했다. import sysfrom collections import dequeinput = sys.stdin.readlineN, M = map(int,input().split())graph = [list(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N)]time = 0di,dj = [0,0,1,-1], [1,-1,0,0]def bfs(i,j): queue = deque() vis..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3 프로그래머스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programmers.co.kr 백트래킹을 좀 특이하게 쓰는 방식의 문제이다. def solution(info, edges): graph = [[] for _ in range(len(info))] visited = [False] * (len(info)) max_value = 1 for s,e in edges: graph[s].append(e) def dfs(v,sheep, wolf, now_lst): nonlocal max_..
Redis 란 무엇인가?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대용량 처리 관련 기술 Redis의 특징디스크가 아닌 메모리 기반(In-Memory data structure)의 데이터 저장소NoSQL 과 Cache 솔루션이며 메모리 기반으로 구성명시적으로 삭제, Expire를 설정하지 않으면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는다.(영구적 보존)여러대의 서버 구성이 가능데이터베이스, Cache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술메모리 위에서 동작하는 Key/Value 저장소인 Redis는 NoSQL DBMS로 분류Memcached와 같은 인메모리 솔루션으로 분리성능은 서버에 따라 따르나 초당 2~10만회 수행 가능성능은 Memcached가 갖고 있는 좋은 점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Memcached보다 우..